2024년 장기요양보험 요율 인상? 보험료 계산방법 알아보기

24년도의 장기요양보험 요율은 23년도 대비하여 1.09% 인상되어 12.95%입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에 해당 요율을 곱하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2024년 장기요양보험료 계산방법 알아보기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2024년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요율은 23년 12.81%에서 12.95%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그동안 여러 포스팅에서 4대 보험료 계산 방법들을 알려드렸었는데요.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해서는 자세히 이야기한 적이 없어서 이번 기회에 조금 더 자세히 이9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알기 쉽게 예를 들어 볼게요. 직장을 다니고 있는 홍길동 씨의 월급여가 300만 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그렇다면 그가 내야 할(혹은 월급에서 공제될) 장기요양보험료는 얼마일까요? 

장기요양보험료는 부담해야할 건강보험료에 장기요양보험 요율을 곱해서 구할 수 있는데요.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아래처럼 표로 정리해 봤습니다. 

 2023년2024년 
월 급여 (a)3,000,000원3,300,000원10% 인상
건강보험 요율 (b)3.545%3.545%동결
건강보험료 (a × b)106,350원116,985원 
장기요양보험 요율 (c)12.81%12.95%1.09% 인상
장기요양보험료 (a × b × c)13,623원15,150원 

위의 표에 나온 순서대로 하나씩 해보시면 어렵지 않게 자신이 부담하게 될 장기요양보험료를 계산해 볼 수 있겠네요. 홍길동 씨는 2023년에 비해서 2024년에 장기요양보험료를 1,527원 더 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장기요양보험의 개요

장기요양보험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줄여서 이야기한 것인데요. 2008년부터 시작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는 아주 빠른 속도로 고령화 국가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고령화와 함께 핵가족화가 이뤄지고, 가족 구성원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죠. 

이런 변화로 인해서 집안에 어르신들을 가족이나 개개인이 보살피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여러 국가에서는 사회보험방식으로 재원을 마련하여 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고령이나 노인서 질병등으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 등에게 신체 활동 이나 가사 활동을 지원하며 장기요양급여 제공을 통해서 노후의 건강 증진 및 생활 안정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지요. 

지금까지 2023년 대비해서 2024년에 인상되는 장기요양보험 요율을 알아보고, 보험료 계산방법을 살펴봤습니다. 국민건강보험에서 운영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잘 시행되어 여러 사람들의 삶의 질이 점점 좋아졌으면 합니다.

Leave a Comment